FM 송신기의 구조와 원리

FM송신기의 구조와 원리

FM송신기가 AM송신기와 다른 가장 큰 차이점은 변조방식이 "주파수 변조"라는 것입니다. 
(AM은 "진폭변조"였지요) 

FM송신기의 일반적 구조



FM변조회로 (직접주파수 변조방식)


일반적으로 LC회로나 가변리액턴스부를 장치해 리액턴스 변동을 이용한다. 

장점

  • 주파수체배기 단수가 적게 든다 (체배기를 많이 사용할 필요 없음)
  • 체배기의 수가 줄어들어 스퓨리어스 방사가 줄어듬 
  • 회로구성이 비교적 간단

단점

  • LC 발진기를 이용하는 자력발진방식이기 때문에 반송파주파수(fc)의 안정도가 나쁘다 
  • 안정도를 높이기 위해 자동주파수제어회로(AFC Circuit)가 필요함

FM변조회로 (간접주파수 변조방식)

  • 전치보상회로가 필요함
  • 이동용등에서 주로 이용함

FM 통신방식의 특징

장점

  • 수신기의 신호대 잡음비(S/N)이 높아 양호한 통신이 가능하다
  • 수신전파의 진폭이 변해도 수신기의 출력은 변하지 않음 
  • 찌그러짐이 적은 변조 및 복조가 가능해 충실도가 높다
  • 같은 주파수대역에 방해파(원치않는 주파수)가 있어도, 희망파(듣고자 하는 주파수)가 방해파보다 아주 약간만 강하면 방해파를 억압하므로 통신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 변조에 필요한 전력이 AM (DSB)보다 적다 

단점

  • 점유주파수대폭이 넓다
  • 장치가 다소 복잡하다
  • 신호파의 강도가 특정 수신입력 이하로 떨어지면 신호대 잡음비(S/N)가 급격히 떨어진다. 따라서 AM (DSB)보다 통신가능 거리가 짧아진다

기타

  • 변조회로가 AM과는 다르다
  • 주파수 변조는 소전력단에서 한다
  • 피변조파의 증폭은 진폭이 일정하기 때문에 C급 증폭을 할 수 있다 (가격이 싸지지 않을까) 
  • 주로 VHF 주파수 그 이상의 높은 주파수에서 사용한다
  • 주파수체배기의 단수가 많이 필요하다 
    (직접주파수변조 방식에서는 체배기가 덜 들어간다고 했지만, 그래도 체배기 자체는 AM송신기에 비해  많이 필요하다는 뜻 같음)
  • IDC회로(순시편이제어회로, Instantaneous Deviation Control Circuit)가 필요하다 

FM전화송신기에 필요한 회로

자동 주파수제어 회로(Automatic Frequency Control)


주파수 안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임 

순시 편이 제어회로(Instantaneous Deviation Control, IDC) Circuit


AM 송신기의 스피치 클리퍼와 마찬가지로 순간적으로 큰 음성입력이 들어왔을때 순간 주파수 편이량이 커지며 대역폭을 넘길 수 있음. 이것을 막아 전체 주파수가 최대대역폭을 넘지 못하게 하는 회로. 

프리엠파시스(Pre-Emphasis) 회로



  • 고음역 보상회로라고 하며, 송신측에서 변조시 신호대 잡음비(S/N)의 저하를 막기 위해 신호파의 높은 주파수 성분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함 
  • 1㎑를 1dB이라고 했을때 한 옥타브당 6dB을 올려준다. (시험에 나오진 않을 것 같음)
  • 이 반대 기능을 갖는 것이 FM 수신기의 디엠파시스(De-Emphasis)회로인데, CR위치가 반대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아마추어 무선이란

동축 케이블의 종류와 선택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