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에서 테스트

야외에서 테스트 운용을 했습니다


7㎒용 HF안테나입니다. (다이아몬드 안테나의 HFxxCL시리즈입니다. 센터 로딩 방식입니다)
AliExpress에서 산 스테인리스 삼각대 위에 AliExpress에서 산 카운터포이즈 구성용 알루미늄판과, AliExpress에서 산 삼각대용 안테나 거치대를 끼워 그 위에 안테나를 설치했습니다. 
제가 알기로 안테나는 일본에서 만드는 것 같던데 전선과 안테나 빼고는 전부 중국산이네요. ㅎㅎ 

카운터포이즈는 테스트 목적으로 4m짜리 전선 네 개를 연결했습니다. 그리고 RG-58케이블을 약 7m정도 전개했고요. 이번에는 단순 테스트이고 10W 짜리 IC-705를 이용했기 때문에 따로 접지는 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다음에는 10W라도 할 생각입니다. 번개가 문제니까요)
전체 높이만 해도 3m를 넘어가서 최대 2.6m까지 연장할 수 있는 삼각대이지만 키를 늘리진 않았습니다. 

테스트는 AH-705 안테나 커플러(안테나 튜너)를 사용하지 않고 SWR을 측정해보고 이후 운용 때는 커플러를 작동시켰습니다. 커플러 사용전의 결과는 이렇습니다. 

  • HF80CL(3.5㎒): SWR = 2 이상 
  • HF40CL(7㎒): SWR 1.3 미만 
  • HF10CL(28㎒): SWR 1.3 미만
  • HF6CL(50㎒): SWR 1.5 미만 
3.5㎒에 대응하는 HF80CL만 위 테스트에서 SWR이 높게 형성되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실효고도와 카운터포이즈 도선의 길이가 짧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결과

개인적인 결론이지만, 제대로 카운터포이즈를 해준다면 자동차에 설치하든 저와 같이 지면에 삼각대로 설치하든 작동에 문제는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만 집에서 테스트한 결과를 생각해 보면 베란다에 아무리 비스듬히 설치하고 접지를 해줘도, 베란다에서는 만족할만한 결과가 나오지 않는 것 같습니다. 

나중에 100W까지 출력을 올린 후 SWR을 다시 측정해보긴 해야겠지만 아무튼 그렇습니다. 
아쉬운 점은, 네 주파수대역에서 아무리 CQ를 외쳐도 응답하는 분이 단 한명도 없어 실제 RST는 확인할 수 없었습니다. 

여담

이 안테나를 제대로 운용하기 위해 나름대로 열심히 공부를 했는데요, 위와 같은 수직형 안테나는 카운터포이즈가 필수라고 합니다. 카운터포이즈용 도선의 길이는(수평으로 진행하는 각각의 도선 길이) 1/4ƛ 이상(以上)이 가장 좋다고 하지만 그게 안된다면 안테나를 기준으로 충분히 많은 양의 방사상 도선을 설치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물론 낙뢰와 안전을 위한 접지는 당연한 것이고요. 

결국 안테나는 크고 길면 유리하고 카운터포이즈든 안전 접지든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이 팁은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가 되더라도 크게 달라지진 않을 것 같습니다. 외국 아마추어 무선기사들의 이야기를 찾아보면 모두들 접지에 대한 이야기를 열심히 하더라고요. 

이번에 카운터포이즈용 접지선은 단심형태의 AWG 17정도를 사용했는데요, 개인적으로는 이상공명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연선이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내부 구리선이 단심의 형태이다보니 바닥에 제대로 닿지 않더라고요. 카운터포이즈는 바닥에 확실히 축 늘어지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다음에 좀 더 준비를 해서 시도해보고, 그때는 교신에 성공하길 빌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수 년간 이상할 정도로 저는 HF 대역에서 교신에 성공한 적이 없습니다. 아무리 송신을 해도 아무도 대답을 하지 않더라고요. 
제가 종종 농담으로 하는 말이지만 아마추어 무선사들이 전부 다 돌아가신 것인지.... 좀 답답할 때가 많습니다. 

그나저나 이번에 농담반 진담반으로 주문했던 괴물같은 안테나가 도착했습니다. 


VHF용 안테나인데 어마어마한 길이를 자랑하는 녀석입니다. 그리고 그 길이만큼 이득도 어마어마하고요. 
도착했길래 잽싸게 달았는데 SWR이 1.1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정말 대단하네요. 앞으로 집에서 교신을 시도할 때는 이걸 사용하려고 합니다. 아무래도 가장 전파환경이 나쁜 곳이 집이니까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주파수별 전파의 특성

접지 설치하기

아마추어 무선이란